본문 바로가기

생활의발견

간단하게 셀프로 싱크대 배수구 교체 하는법!

싱크대 배수구 교체

 

싱크대 배수구 교체

오늘은 제가 하는 일이기도 한 싱크대 배수구 교체하는 법에 관해서 글을 써 보려 합니다

 

직업이 음식물처리기 설치하는 일이다 보니 맨날 하는 게 싱크대 부품 만지는 거라

 

중이 지 머리 못 깎는다고 저희 집 꺼는 한 번도 거들떠본 적도 없네요 ㅋㅋ

 

와이프가 싱크대 하수구 냄새난다고 해결 좀 하라고 하는데 차일피일 미루다가 오늘은 성화에 못 이겨 교체를 합니다

 

◈ 준비물

  • 자바라 호스
  • 악취방지캡
  • 십자드라이버, 가위, 롱 로즈 등 수공구, GP본드(PVC본드)

싱크대 배수구 악취방지캡

싱크대 밑에 걸레받이(싱크대 문 아래쪽 막고 있는 판) 를 제거하면 집마다 위치는 다르지만 이런 식으로 배수구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간혹 이 배수구가 팔이 닿지 않는 구석에 자리 잡고 있다면 작업이 안되거나 불편한 점이 있으니 확인을 합니다

 

보통 리모델링을 하면서 싱크대를 새로 바꾸면서 배수구 위치와 멀게 되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싱크대 수채통

먼저 바가지 등과 같이 물이 떨어지면 받을 수 있는걸 호스 아래쪽에 받쳐 주시고

 

수채통 (저희는 수채통이라고 하는데 다른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옆과 아래쪽에 사진과 같이 호스가 연결이 되어있는데 연결된 부분을 손으로 돌려서 풀어 줍니다

  

싱크대 수채통 제거

그리고 나서는 수채통도 돌려서 제거를 해주세요 나사산으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처음에만 힘 좀 줘서 풀면 잘 풀어집니다

 

싱크볼

제거를 했다면 싱크볼에 껴 있는 지저분한 것들을 마른 휴지로 잘 닦아 줍니다

 

싱크대 오버플로우 재활용

이건 오버플로우라고 하는 부품인데 요즘 나오는 신형 싱크대에서는 아예 오버플로우 자체가 없는 경우도 있지만

 

웬만한 집 싱크대에서는 좌, 우, 정면, 혹은 수세미를 놓는 곳에 이렇게 오버플로우라는 게 있습니다

 

오버플로우의 역할은 개수대에 물이 많이 차게 되면 밖으로 넘쳐서 물난리가 나지 않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싱크대 오버플로우 부속 재활용

사진으로 순서대로 정렬을 해봤는데 호스는 교체를 할 거지만 부속은 재활용을 할 거기 때문에

 

검은색 고무패킹이 달려 있는 쪽의 부품에 자바라 호스가 본드칠로 인해 딱 달라붙어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위와 롱 로즈 등을 이용해서 띠어 주면 되는데 아래에 영상으로도 첨부했으니 참고하시면 될 듯합니다

 

싱크대 부속 재활용 하는법

싱크대 자바라 호스 슬러지

 

싱크대 배수구 교체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배수 속도가 느리거나 악취가 나거나 이런 상활일 텐데요

 

보시는 것처럼 사람도 동맥경화에 걸리듯이 자바라 호스 안쪽으로 슬러지가 껴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설거지를 하고 물만 내보낸다고 생각하지만 음식물 찌꺼기들과 섞이고 기름기도 내려가고 하다 보니

 

이와 같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호스 안쪽은 점점 침착된 이물질들이 생기게 됩니다

 

GP본드

자 다시 본론으로 들어와서 좀 전에 싱크대 오버플로우 부품을 호스와 분리를 했으니 이제  새 호스로 교체해주면 됩니다

 

철물점에 가면 GP본드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없다면 다른 PVC본드를 사용해도 무방 합니다

 

GP본드 뚜껑을 열면 안에 솜뭉치 같은 것이 달려있는데 그 부분에 본드를 잘 묻혀서 호스 안쪽에 돌려가면서 발라주면 끝!

 

오버플로우 교체

그러고 나서는 오버플로우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끝까지 들어가도록 꾹 밀어 넣습니다

 

싱크대 오버플로우 교체 모습

이제 오버플로우 달려 있던 자리에 다시 체결해 주면 되는데 십자드라이버 하나만 있어도 손쉽게 할 수 있습니다

 

 

싱크대 배수구 악취방지캡

이번에는 싱크대 배수구 교체 캡 부분입니다 회색 캡이 기존에 달려있던 것이고 끝부분에 파란색으로 봉긋하게 보이는 것이 새로 교체할 부품입니다 보통 싱크대 악취방지캡 혹은 트랩 등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우측 사진을 보면 검은색 부분에 2중으로 패킹처럼 돼있는 부분이 있는데 저곳이 싱크대 배수구에 딱 물려서 잘 안 빠지고 혹시 모를 역류 시에도 물이 안 넘치게끔 해주는 부분입니다

 

악취방지 캡 과 자바라 호스를 연결할 수 있는 부품을 잘 끼워 줍니다

 

싱크대 악취방지캡 체결

저는 사진을 찍고 하다 보니 악취방지 캡을 연결하고 나서 역으로 아래에서 위로 자바라 호스를 집어넣는데 작업할 때는 본인이 편하게 하시면 됩니다

 

싱크대 배수구 악취방지캡 교체

이렇게 배관에다가 꾹 눌러서 끼워주면 되는데 잘 안 들어가면 시계방향으로 돌리시면서 끼시면 잘 들어갑니다

 

그리고 사진을 보시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는데 이건 배관 컷팅을 누가 했는지 모르지만 대각선 방향으로 해놔서 이렇게 밖에 체결이 안됩니다 ㅎㅎ

 

 

악취방지 캡 원리

그럼 이 악취방지 캡은 어떤 원리로 냄새를 막아 주는 역할을 할까요?

 

위에 영상으로 올려 드렸는데 물이 위에서 아래로 내려가게 되면 물의 무게로 파란색 부분의 실리콘이 모세의 기적처럼 열리게 되고 물이 다 빠지고 나면 다시 닫히게 되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역으로 올라오는 악취를 막아주는 방식입니다

 

싱크대 배수구 교체까지 완료하고 나서 수채통을 다시 달아줍니다 그리고 이제 오버플로우 쪽 자바라 호스와 수채통을 연결해 줄 건데요 호스는 너무 타이트하지 않게 제단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호스를 여유 있게 잘랐다면 호스가 길 경우 좀 더 자르면 되지만 타이트하게 잘라서 호스가 짧다면 아이피팅을 써서 추가로 호스를 연결하거나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쪽도 마찬 가지로 GP본드로 호스 안쪽에 잘 발라서 소켓을 껴주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는 나사산 부분을 야마 나지 않도록 잘 체결해 주시면 되구요

 

 

배수구 쪽 자바라 호스 또한 여유 있게 제단 후 연결해 주면 되는데 냄비나 기타 주방용품 등을 넣어야 하기 때문에 

 

자바라 호스를 당겨서 대각선이 되도록 하기보다는 바닥에 깔릴 수 있는 길이 정도로 제단을 하는 걸 추천합니다

 

좌측 사진을 보면 바닥에 호스가 깔리게끔 해서 제단을 했지만 호스의 텐션이 있기 때문에 우측 사진과 같이 위로 호스가 뜨게 됩니다 그럼 간단히 호스 정리만 하면 되는데요

 

 

전선 정리할 때 쓰는 새들이 차에 있는데 가지러 가기 귀찮아서 피스 하나 박고 나서 케이블 타이 두 개를 이용하여 자바라 호스를 고정시킵니다 ㅎㅎ

 

원래는 수채통 아랫부분 직각으로 꺾이는 부분에 피스를 박으려 했지만 점검구처럼 싱크대 바닥이 통이 아니고 위로 들리는 형태의 바닥으로 되어 있어서 원판 쪽에 피스를 받으니 각이 이쁘게는 안 나오네요 ㅜㅜ

 

글을 쓰고 보니 사진만 엄청 많고 작업 방법이 잘 정리가 안된 거 같은데 ㅜㅜ 직접 해보시면 엄청 쉬우니 혹시라도 셀프로 배수구 교체하실 거라면 사람 부르지 마시고 직접 하시길 권합니다!